안녕하세요 :)
오늘은 2025년 최저시급 및 월급,잔업수당,휴일근무수당,특근수당,주휴수당을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해요 ^^
먼저 !
최저시급은 10,030원 ! 월급으로는 209만 6270원 !
제도시행으로 처음으로 1만원이 넘어섰습니다 ㅎㅎ 짝짝짝 :)
5년 추이를 보면
2020년 : 8,590원
2021년 : 8,720원
2022년 : 9,160원
2023년 : 9,620원
2024년 : 9,860원 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ㅎㅎ
2026년은 10,500원 이상 되었으면 좋겠네용 ^^

그리고 주휴수당 !!
먼저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분들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보상인데요 !
예를들면 근로자가 하루 8시간씩 주5일 근무를 한다 ?! 그럼 주 40시간 근무겠죠 ?!
그럼 주휴수당 계산을 한다면 하루 8시간 * 최저시급 10,030원 = 80,240원입니다.
한달이면 ?! 80,240원 * 4주 = 320,960원 !!
아까 위에 말씀드린 2025년 최저시급으로 월급 계산할때 209만 6270원이라고 했잖아용
그럼 주휴수당까지 2,096,270 + 320,960원 계산하면 2,417,230원이
하루 8시간씩 주5일근무한 근로자분들이 받아야할 금액이에요 !

그 다음 연장근로 수당 !!
여러분 법정 근무시간이 주 40시간인거는 아시죠 ?!
이 법정 근무시간을 초과했을 때 지급되는 수당입니다.
초과했을 때는 무려 기본 시급의 1.5배 !!!
만약 여러분이 최저시급을 받고, 법정 근무시간 주 40시간이 지났다면
최저시급 10,030원 * 1.5 = 15,045을 받아야하는겁니다 !

그 다음 야근수당 !!
야근의 기수즌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 사이 근무했을 때의 수당인데요 !
야근수당도 기본시급의 1.5배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:)

그리고 휴일근로수당 !! 이란?
휴일근무는 주말 또는 공휴일에 근무한 경우 지급되고, 이 경우에는 시급의 1.5배~2배가 적용 된답니다 ^^
법정 공휴일 근무시에 2배이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^^
수당의 종류가 많아 혼동 있으신분 있으실텐데 간단하게 정리하였으니
참고하셔서 일한 돈 정확하게 받으시죠 !!!!
궁금하신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성의껏 답글 달아드리겠습니당 :)
'법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최저임금, 주휴수당, 주말근무수당, 야간수당, 휴일수당 계산 깔끔히 정리! (0) | 2022.07.01 |
---|---|
야근수당 & 잔업수당(초과근무수당) & 주말,특근,휴일수당 계산법!! (5) | 2020.03.27 |
2020년 최저임금/시급/ 주휴수당 계산법 ! (0) | 2020.03.04 |
게임 중 욕설 고소 가능할까? (0) | 2020.02.24 |
댓글